여기에서 본문입니다.

공유지의 확대 추진에 관한 법률(공확법) Q&A

공유지의 확대 추진에 관한 법률(공확법)에 근거하는 신고·신출

최종 갱신일 2025년 1월 21일

Q
1:토지의 소유자란 등기부상의 소유자입니까?
A

실체법상의 소유자이며, 부동산 등기부상의 권리자는 아닙니다.

Q
2:매매 이외에도 「유상으로 양도하려고 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행위는 있습니까?
A

계약에 따라 유상으로 양도한다면 매매에 한하지 않습니다.대물 변제, 교환, 매매의 예약등이라도 계약에 근거하는 양도로, 유상이면 해당합니다.
증여, 기부, 수용, 경매 등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Q
3:공확법의 신고의 유무의 판단은, 등기부 면적과 실측면적의 어느 쪽으로 실시합니까?
A

신고의 유무의 판단은, 실측하고 있는 경우는 실측 지적으로 판단합니다.실측지적을 모르는 경우에는 등기부 면적으로 판단합니다.
다만, 신고(신출)서의 지적의 란에는 「등기부 면적」을 기입해, 실측 지적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실측 지적을 괄호 써로 기입해 주세요.

Q
4:지분권의 매매(맨션의 1실의 매매도 포함한다)를 합니다만, 신고는 필요합니까?
A

구분소유권 등 지분권의 매매를 할 때에는 필요 없습니다.
토지를 공유하는 경우, 공유자 전원이 유상양도를 하는 경우에는 필요합니다.

Q
5:아직 양도처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신고는 할 수 있습니까?
A

「신고」로 「양도하려고 하는 상대방」에 대해서는, 기입을 부탁하고 있습니다.

Q
6:신고는 매매계약 후에도 가능한가요?
A

신고는, 매매 계약 전에 제출해, 「매입하지 않는 취지의 통지」를 받은 후에 계약의 체결을 해 주세요.

Q
7:신고(신청)는 토지의 소유자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까?
A

대리인을 세워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대리인이 신고를 하는 경우는 위임장이 필요합니다.제출 서류의 페이지에 양식을 준비하고 있으므로, 사용해 주세요.

Q
8:요코하마시가 매입을 희망하면, 팔지 않으면 안 됩니까?
A

매입 협의를 실시하는 취지의 통지를 받았을 경우, 천재나, 중병 등의 정당한 이유가 있어,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협의에 응해 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협의를 갖추어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조건이 맞지 않고 협의가 성립될 수도 있습니다.

Q
9:신고(신청)를 하고 나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얼마나 걸립니까?
A

신고(신청)가 있던 날부터 기산하여 3주일 이내에 매입 협의를 하거나 하지 않는지, 어느 하나의 결과 통지를 내도록 되어 있습니다.

Q
10:신고(신청)를 한 결과는, 어떤 형태로 알려졌습니까?
A

우선, 신고(신청)해 주신 토지에 대해서, 지방 공공 단체등이 이용 계획의 유무에 대해서 확인을 실시해, 매입 협의를 실시하는지를 결정합니다.이 결과를 통지서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Q
11:매수 협의를 하지 않는다는 통지를 받은 후에 양도하려는 상대방이 변경되었습니다.다시 신고할 필요는 있습니까?
A

발행한 통지는, 통지가 있던 날부터 기산해 1년을 경과할 때까지는 유효하므로, 그동안, 양도하려고 하는 상대방이나 양도 예정 금액에 변경이 있어도, 다시 제출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신고시부터 소유자가 바뀌고 있는 경우에는, 1년 이내라도 신고가 필요하게 됩니다.

Q
12:시에 토지를 사 주었으면 하는데요, 어떠한 토지라도 토지 매입 희망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까?
A

요코하마 시내의 토지에서, 면적이 200제곱미터 이상 있으면 매입 희망 신청서를 낼 수 있습니다.면적에 대해서는 실측하고 있는 경우는 실측 면적으로 실측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기부 면적으로 200제곱미터 이상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

Q
13:신탁 수익권의 매매를 합니다.신고가 필요합니까?
A

신탁 수익권의 양도에 대해서는, 통상, 소유권의 이전을 수반하지 않는 일종의 채권 양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소유권의 이전을 수반하는 양도도 있기 때문에, 신고가 필요한지, 신탁 수익권의 양도 계약의 내용을 근거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신탁기간중이나 종료시에 수익자가 토지소유권을 누릴 권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신탁 수익권의 양도가 실질적으로 토지의 매매와 동시할 수 있기 때문에, 토지의 유상 양도에 해당하고 신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또, 수탁자가 신탁재산인 부동산을 매각(처분)할 때는, 매각(처분)시에 수탁자로부터의 신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14:신고 이전에 매입 협의의 불성립까지의 정지 조건을 붙여 매매계약하는 것은 가능합니까?
A

매입 협의가 불성립이 된 경우에 유상 양도가 유효하게 되도록 정지 조건을 붙인 양도 계약은, 정지 조건(매수 협의의 불성립)이 성취한 때부터 그 효력을 생기는 계약이므로, 신고보다 전에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한편, 매입 협의가 성립했을 경우에 유상 양도를 무효로 하는 해제 조건을 붙인 양도 계약은, 해제 조건(매수 협의의 성립)이 성취될 때까지는, 해당 양도가 유효하므로, 공확법 제4조 「토지를 양도하려고 하는 경우의 신고 의무」 또는 제8조 「토지의 양도의 제한」에 반하는 계약으로 해석됩니다.

페이지 링크

이 페이지에의 문의

재정국 퍼실리티 매니지먼트 추진과공확법 담당

전화:045-671-3977

전화:045-671-3977

팩스:045-662-5369

메일 주소[email protected]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기

페이지 ID:586-427-452

  • LINE
  • Twitter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 Smart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