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서 본문입니다.

공적 연금 등의 종류장애 등급표

최종 갱신일 2022년 2월 8일

국민연금법 시행령 별표

1급

  1. 다음에 내거는 시각장애 이양안의 시력이 각각 0.03 이하의 것 로일안의 시력이 0.04, 다른 눈의 시력이 수동 밸브 이하의 것 하골드맨형 시야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 양안의 1/4(※)시표에 의한 주변 시야 각도의 합이 각각 80도 이하 한편 1/2(※)시표에 의한 양안 중심 시야 각도가 28도 이하인 것 니 자동 시야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 양안 개방 시인 점수가 70점 이하인 것
  2. 두 귀의 청력 레벨이 100데시벨 이상인 것
  3. 양상지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가진 것
  4. 양상지의 모든 손가락이 부족한 것
  5. 양상지의 모든 손가락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가진 것
  6. 양하지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가진 것
  7. 양하지를 족관절 이상으로 빠뜨리는 것
  8. 체간 기능에 앉아 있을 수 없는 정도 또는 일어설 수 없는 정도의 장애를 가진 것
  9. 전 각호에 내거는 것 외, 신체의 기능의 장애 또는 장기에 걸친 안정을 필요로 하는 병세가 전 각호와 같은 정도 이상으로 인정되는 상태이며, 일상생활의 용을 변명하는 것을 불능으로 하는 정도의 것
  10. 정신의 장애이며, 전 각호와 같은 정도 이상으로 인정되는 정도의 것
  11. 신체의 기능의 장애 혹은 병상 또는 정신의 장애가 중복되는 경우이며, 그 상태가 전 각호와 같은 정도 이상으로 인정되는 정도의 것

2급

  1. 다음에 내거는 시각장애 이 양안의 시력이 각각 0.07 이하의 것 로일안의 시력이 0.08, 다른 눈의 시력이 수동 밸브 이하의 것 하골드맨형 시야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 양안의 1/4(※)시표에 의한 주변 시야 각도의 합이 각각 80도 이하 한편 1/2(※)시표에 의한 양안 중심 시야 각도가 56도 이하인 것 니 자동 시야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 양안 개방 시인 점수가 70점 이하인 것
  2. 두 귀의 청력 레벨이 90데시벨 이상인 것
  3. 평형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가진 것
  4. 소변의 기능이 부족한 것
  5. 음성 또는 언어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가진 것
  6. 양상지의 할아버지 손가락 및 한손가락 또는 가운데 손가락이 부족한 것
  7. 양상지의 엄지 손가락 및 한손가락 또는 중지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가지는 것
  8. 한 상지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가진 것
  9. 한 상지의 모든 손가락을 빼는 것
  10. 한 상지의 모든 손가락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가진 것
  11. 양하지의 모든 손가락이 부족한 것
  12. 한 하지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가진 것
  13. 한 다리를 족관절 이상으로 빠뜨리는 것
  14. 체간 기능에 걸을 수 없는 정도의 장애를 가진 것
  15. 전 각호에 내거는 것 외, 신체의 기능의 장애 또는 장기간에 걸친 안정을 필요로 하는 병세가 전 각호와 같은 정도 이상으로 인정되는 상태이며, 일상생활이 현저한 제한을 받거나 일상생활에 현저한 제한을 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정도의 것
  16. 정신의 장애이며, 전 각호와 같은 정도 이상으로 인정되는 정도의 것
  17. 신체의 기능의 장애 혹은 병상 또는 정신의 장애가 중복되는 경우이며, 그 상태가 전 각호와 같은 정도 이상으로 인정되는 정도의 것

후생연금보험법 시행령 별표 제1

3급

  1. 다음에 내거는 시각장애 이양안의 시력이 각각 0.1 이하로 줄어든 것 로골드맨형 시야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 양안의 1/4(※)시표에 의한 주변 시야 각도의 합이 각각 80도 이하로 줄어든 것 하자동 시야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 양안 개방 시인점수가 70점 이하로 줄어든 것
  2. 두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에서는 통상의 화성을 풀 수 없는 정도로 줄어든 것.
  3. 생식 또는 언어의 기능에 상당한 정도의 장애를 남기는 것
  4. 척추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남기는 것
  5. 1상지의 3대 관절 중 니관절의 용을 폐한 것
  6. 하지의 3대 관절 중 니관절의 용을 폐한 것
  7. 장관상골에 위관절을 남기고 운동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남기는 것
  8. 일상지의 아버지와 손가락을 잃어버린 것 또는 오빠짐을 아울러 1상지의 세 손가락 이상을 잃은 것
  9. 오야손가락 및 한손가락을 아울러 1상지의 용을 폐한 것
  10. 하지를 다람쥐프랑 관절 이상으로 잃은 것
  11. 양하지의 십지 용을 폐한 것
  12. 전 각호에 내거는 것 외에 신체의 기능에 노동이 현저한 제한을 받거나 노동에 현저한 제한을 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정도의 장애를 남기는 것
  13. 정신 또는 신경계통에 노동이 현저한 제한을 받거나 노동에 현저한 제한을 가할 필요가 있는 정도의 장애를 남기는 것
  14. 상병이 치료되지 않고 신체의 기능 또는 정신 또는 신경계통에 노동이 제한을 받거나 노동에 제한을 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정도의 장애를 가지는 것으로, 후생 노동 대신이 정하는 것

후생연금보험법 시행령 별표 니

(장애 수당금)

  1. 양안의 시력이 각각 0.6 이하로 줄어든 것
  2. 일안의 시력이 0.1 이하로 줄어든 것
  3. 양안 눈꺼풀에 현저한 결손을 남기는 것
  4. 양안에 의한 시야가 2분의 1 이상 결손한 것, 골드만형 시야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 1/2(※)시표에 의한 양안 중심 시야각도가 56도 이하로 줄어든 것 또는 자동 시야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 양안 개방 시인점수가 100점 이하 또는 양안 중심 시야시인 점수가 40점 이하로 줄어든 것
  5. 양안의 조정 기능 및 혼잡(후쿠소)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남기는 것
  6. 일귀의 청력이 귀에 접하지 않으면 큰 소리로 인한 이야기를 풀 수 없을 정도로 줄어든 것.
  7. 생식 또는 언어의 기능에 장애를 남기는 것
  8. 코를 결손하고 그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남기는 것
  9. 척추 기능에 장애를 남기는 것
  10. 1상지의 3대 관절 중 일관절에 현저한 기능장애를 남기는 것
  11. 한 하지의 3대 관절 중 일관절에 현저한 기능장애를 남기는 것
  12. 한하지를 3센티미터 이상 단축한 것
  13. 장관상골에 현저한 전위 변형을 남기는 것
  14. 한 상지의 두 손가락 이상을 잃은 것
  15. 한 상지의 한가락을 잃은 것
  16. 일상지의 세 손가락 이상의 용을 폐한 것
  17. 한마디로 손가락을 아울러 1상지의 용을 폐한 것
  18. 일상지의 아버지 손끝 용을 폐한 것
  19. 하지의 제1지 또는 다른 사지 이상을 잃은 것
  20. 하지의 5지의 용을 폐한 것
  21. 전 각호에 내거는 것 외에 신체의 기능에 노동이 제한을 받거나 노동에 제한을 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정도의 장애를 남기는 것
  22. 정신 또는 신경계통에 노동이 제한을 받거나 노동에 제한을 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정도의 장애를 남기는 것

(※)1/4 및 1/2의 1은 로마숫자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비고 시력의 측정은 만국식 시시력표에 의한 것으로 하고, 굴절 이상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교정 시력에 의해 측정한다.

수속에 관한 문의

거주하는 구의 관할 연금 사무소에 문의해 주세요.

연금사무소 연락처
사무소관할구문의처
고호쿠 연금 사무소(외부 사이트)아오바구
고호쿠구
쓰즈키구
미도리구
전화:045-546-8888
팩스:045-546-8880
쓰루미 연금 사무소(외부 사이트)가나가와구
쓰루미구
전화:045-521-2641
팩스:045-504-5600
요코하마 나카 연금 사무소(외부 사이트)나카구
니시구
전화:045-641-7501
팩스:045-641-7578
요코하마니시 연금 사무소(외부 사이트)아사히구
이즈미구
사카에구
세야구
도쓰카구
호도가야구
전화:045-820-6655
팩스:045-825-4381
요코하마 미나미 연금 사무소(외부 사이트)이소고구
가나자와구
고난구
미나미구
전화:045-742-5511
팩스:045-714-7250

이 페이지에의 문의

건강 복지국 생활복지부 보험연금과

전화:045-671-2418

전화:045-671-2418

팩스:045-664-0403

메일 주소[email protected]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기

페이지 ID:356-264-600

  • LINE
  • Twitter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 Smart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