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코하마시 톱 페이지
- 생활·수속
- 호적·세·보험
- 세금
- 요코하마시의 시세
- 개인의 시민세·현민세
- 개인의 시민세·현민세(자세한)
- 소득공제(2020년도 과세)
여기에서 본문입니다.
소득공제(2020년도 과세)
(주)이 페이지에서는 2020년도의 과세 내용을 기재하고 있습니다.2021년도의 과세 내용에 대해서는 이쪽
최종 갱신일 2021년 2월 19일
- 잡손 공제
- 의료비 공제
- 사회보험료 공제
- 소규모 기업 공제 등 가금 공제
- 생명보험료 공제
- 지진 보험료 공제
- 장애인 공제
- 과부(과부) 공제
- 근로학생공제
- 배우자 공제
- 부양 공제
- 배우자 특별공제
- 기초 공제
잡손 공제
요건
전년 중에 재해 등으로 자산에 대해 손실을 입은 사람
공제액
{(손실액-보험 등에 의해 보충된 액)-(총소득금액 등×1/10)} 또는 (재해 관련 지출의 금액-5만엔) 중 어느 쪽인가 많은 액
의료비 공제
요건
전년 중에 의료비 등을 지불한 사람
공제액
다음의 (1) 통상분(일반분), 혹은 (2)특례분(셀프 메디케이션 세제분)의 선택 적용이 됩니다.
- (1)통상분(일반분)
- (지급한 의료비 - 보험 등에 의해 보충된 금액(※1)) - {(총소득금액 등×5/100) 또는 10만엔 중 낮은 금액}(최고 200만엔)
- (2)특례분(셀프 메디케이션 세제분)※2
- (특정 일반용 의약품 등 구입비 - 보험 등에 의해 보충된 금액(※1) -2,000엔(최고 8만 8천엔)
※1 구체적으로는 출산육아일시금, 고액 의료비, 손해보험계약 또는 생명보험계약에 따라 의료비의 보충을 목적으로 지불을 받는 보험금이나 급부금 등이 있습니다.
※2 특례분의 적용에는, 신고하는 쪽이 건강의 유지 증진 및 질병의 예방에의 대처로서 일정의 대처를 실시하고 있는 것의 증명이 필요합니다.
사회보험료 공제
요건
전년 중에 사회보험료(건강보험, 개호보험, 후생연금, 국민연금 등)를 지불한 사람
공제액
지불한 금액
소규모 기업 공제 등 가금 공제
요건
전년 중에 소규모 기업공제 제도(구 제2종 공제 가금을 제외한다)·확정거출 연금법의 기업형 연금 가입자 가금 또는 개인형 연금 가입자 가금(iDeCo 이데코)·심신장애인 부양 공제 제도에 따라 걸금을 지불한 사람
공제액
지불한 금액
생명보험료 공제
다음의 (1)부터 (3)까지의 합계액(공제한도액 70,000엔)
(1)신계약의 일반 생명보험료, 개호의료보험료, 개인연금보험료(2012년 1월 1일 이후에 체결한 보험계약 등)
지불 금액 | 공제액 |
---|---|
12,000엔까지 | 전액 |
12,000엔을 넘어 32,000엔까지 | 지불 보험료×1/2+6,000엔 |
32,000엔을 넘어 56,000엔까지 | 지불 보험료×1/4,000엔 |
56,000엔을 넘는 경우 | 28,000엔(한도액) |
※지불 금액에는 분배금으로서 지불된 금액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2)구계약의 일반 생명보험료, 개인연금보험료(2011년 12월 31일 이전에 체결한 보험계약 등)
지불 금액 | 공제액 |
---|---|
15,000엔까지 | 전액 |
15,000엔을 넘어 40,000엔까지 | 지불 보험료×1/2+7,500엔 |
40,000엔을 넘어 70,000엔까지 | 지불보험료×1/4+17, 500 |
70,000엔을 넘는 경우 | 35,000엔(한도액) |
※지불 금액에는 분배금으로서 지불된 금액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3)일반 생명보험료 또는 개인연금 보험료에 있어서 신계약과 구계약을 모두 지불하고 있는 경우
(1)와 (2)의 합계액(한도액 28,000엔)과 (2)로 계산한 금액 중 어느 하나 큰 쪽의 금액
지진 보험료 공제
(1)지진 보험료에 걸리는 부분
지불 금액 | 공제액 |
---|---|
50,000엔까지 | 지불 보험료×1/2 |
50,000엔을 넘는 경우 | 25,000엔(한도액) |
(2)구장기손해보험료에 걸리는 부분※(1)에 해당하는 것을 제외한다
지불 금액 | 공제액 |
---|---|
5,000엔까지 | 전액 |
5,000엔을 넘어 15,000엔까지 | 지불 보험료×1/2+2,500엔 |
15,000엔을 넘는 경우 | 10,000엔(한도액) |
※구장기손해보험료란, 2006년 12월 31일까지 계약한 손해보험료 중, 만기 반납금이 있어, 보험기간이 10년 이상인 것으로, 지진보험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3) (1)과 (2)의 양쪽 모두의 경우
(1)와 (2)의 합계액…25,000엔(한도액)
장애인 공제
본인, 동일 생계 배우자 또는 부양 친족이 장애인인 경우는, 1인당 26만엔(특별장애인은 30만엔)
<특별장애인이란, 신체장애인 수첩 1급 및 2급, 정신장애인 수첩 1급, 사랑의 수첩 A1 및 A2 해당 분 및 성년 피후견인의 분등을 말합니다.>
※동일 생계 배우자 또는 부양친족이 동거의 특별장애인인 경우는 53만엔.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주)
1만엔(특별장애인은 10만엔)
※동일 생계 배우자 또는 부양친족이 동거의 특별장애인인 경우 22만엔
과부(과부) 공제
요건
<과부>다음 어느 쪽인가에 해당하는 사람
- (1)남편과 사별 후 혼인하지 않은 사람으로 부양친족 또는 전년 총소득금액 등이 38만엔 이하의 생계를 하나로 하는이별이 있는 사람
(2)남편과 사별 후 혼인하지 않은 사람으로 전년 합계 소득 금액이 500만엔 이하인 사람
<과부>부인과 사별이별 후 혼인하지 않은 사람으로 다음 모두에 해당하는 사람
- (1)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 500만엔 이하의 사람
(2)전년의 총 소득 금액 등이 38만엔 이하의 생계를 하나로 하는 아이가 있는 사람
공제액
26만엔
(단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500만엔 이하로 부양 친족인 아이를 가지는 과부 <과부(특별)>인 경우 30만엔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주)
과부(과부)…1만엔
과부 특별…5만엔
근로학생공제
요건
근로학생으로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65만엔 이하(이 중 급여 소득 등 이외의 소득이 10만엔 이하)인 사람
공제액
26만엔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주)
1만엔
배우자 공제
요건
본인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1,000만엔(급여 소득자의 경우는 급여 수입 금액이 1,220만엔) 이하인 사람으로, 부양하는 배우자(청색 사업 전종자, 사업 전종자 및 다른 납세 의무자의 부양 친족은 제외한다)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38만엔(급여 소득자의 경우는 급여 수입 금액이 103만엔) 이하인 사람
공제액 및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주)
본인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1) | |||||||
---|---|---|---|---|---|---|---|
요건 | 900만엔 이하 | 900만엔 초과 950만엔 이하 | 950만엔 초과 1,000만엔 이하 | ||||
배우자의 전년 합계 소득 금액 및 연령 |
공제액 | 소득세와의 인적 공제액의 차액 | 공제액 | 소득세와의 인적 공제액의 차액 | 공제액 | 소득세와의 인적 공제액의 차액 | |
38만엔 이하 | 일반 공제 대상 배우자 | 33만엔 | 5만엔 | 22만엔 | 4만엔 | 11만엔 | 2만엔 |
노인 공제 대상 배우자(70세 이상의 사람(※2)) | 38만엔 | 10만엔 | 26만엔 | 6만엔 | 13만엔 | 3만엔 |
(※1)본인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1,000만엔을 넘고 있는 경우는, 배우자 공제의 적용은 없습니다.
(※2)2020년도 과세에서는 1950년 1월 1일 이전에 태어난 사람.
*전년의 수입이 급여만으로, 합계 소득 금액이 1,000만엔 초과(급여 수입 1,220만엔 초과)의 납세자에게, 생계를 일체로 하는 소득이 없는 배우자 쪽이 있는 경우에는, 납세자 또는 배우자의 개인 주민세의 신고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자세한 것은, 살고 있는 구의 세무과 시민세 담당에 문의해 주세요(문의처 전화번호등에 대해서는, 이 페이지의 하부의 「문의처」란을 참조해 주세요.)。
부양 공제
요건
부양하는 자(배우자를 제외한다)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38만엔(급여 소득자의 경우는 급여 수입 금액이 103만엔) 이하의 사람
공제액
(1)일반 공제 대상 부양 친족(배우자를 제외한다)…33만엔
(부양친족 중 16세 이상 19세 미만의 사람 <2001년 1월 2일 이후 2004년 1월 1일 이전에 태어난 사람> 및 연령 23세 이상 70세 미만의 사람 <1950년 1월 2일 이후 1997년 1월 1일 이전에 태어난 사람>)
(2)특정부양친족…45만엔(부양친족 중 연령 19세 이상 23세 미만의 사람<1997년 1월 2일 이후 2001년 1월 1일 이전에 태어난 사람>)
(3)노인부양친족…38만엔(1950년 1월 1일 이전에 태어난 사람)
(4)동거 노친등부양친족…45만엔(노인부양친족으로 동거하고 있는 본인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에 해당하는 사람)
※연령에 대해서는 2020년도 과세의 경우입니다.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주)
(1)5만엔
(2)18만엔
(3)10만엔
(4)13만엔
배우자 특별공제
요건
본인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1,000만엔(급여 소득자의 경우는 급여 수입 금액이 1,220만엔) 이하인 사람으로, 배우자(청색 사업 전종자, 사업 전종자 및 다른 납세 의무자의 부양 친족은 제외한다)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38만엔 초과 123만엔 이하인 사람
공제액 및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주)
본인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1) | |||||||
---|---|---|---|---|---|---|---|
요건 | 900만엔 이하 | 900만엔 초과 950만엔 이하 | 950만엔 초과 1,000만엔 이하 | ||||
배우자의 전년 합계 소득 금액 | 공제액 |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2) | 공제액 |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2) | 공제액 |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2) | |
38만엔 초과85만엔 이하 | 38만엔 초과 40만엔 미만 | 33만엔 | 5만엔 | 22만엔 | 4만엔 | 11만엔 | 2만엔 |
40만엔 이상 45만엔 미만 | 3만 엔 (※2) | 2만 엔 (※2) | 1만 엔 (※2) | ||||
45만엔 이상 85만엔 이하 | 0엔(※2) | 0엔(※2) | 0엔(※2) | ||||
85만엔 초과 90만엔 이하 | 33만엔 | 0엔(※2) | 22만엔 | 0엔(※2) | 11만엔 | 0엔(※2) | |
90만엔 초과 95만엔 이하 | 31만엔 | 0엔(※ 3) | 21만엔 | 0엔(※ 3) | 11만엔 | 0엔(※ 3) | |
95만엔 초과 100만엔 이하 | 26만엔 | 18만엔 | 9만엔 | ||||
100만엔 초과 105만엔 이하 | 21만엔 | 14만엔 | 7만엔 | ||||
105만엔 초과 110만엔 이하 | 16만엔 | 11만엔 | 6만엔 | ||||
110만엔 초과 115만엔 이하 | 11만엔 | 8만엔 | 4만엔 | ||||
115만엔 초과 120만엔 이하 | 6만엔 | 4만엔 | 2만엔 | ||||
120만엔 초과 123만엔 이하 | 3만엔 | 2만엔 | 1만엔 | ||||
123만엔 초과 | 0엔 | 0엔 | 0엔 |
(※1)본인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1,000만엔을 넘고 있는 경우는, 배우자 특별 공제의 적용은 없습니다.
(※2)배우자특별공제의 소득세와의 인적 공제액의 차액은 구제도가 적용되기 때문에 배우자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40만엔 이상 45만엔 미만, 45만엔 이상 85만엔 이하, 85만엔 초과 90만엔 이하의 3구분에 대해서는 실제 소득세와의 인적 공제액의 차액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3)배우자의 전년의 합계 소득 금액이 90만엔 초과의 경우, 주민세와 소득세의 배우자 특별 공제액이 동액 때문에 인적 공제액의 차액은 없습니다.
*전년의 수입이 급여만으로, 합계 소득 금액이 1,000만엔 초과(급여 소득자의 경우는 급여 수입 금액이 1,220만엔 초과)의 납세자에게, 생계를 하나로 하는 소득이 없는 배우자 쪽이 있는 경우에는, 납세자 또는 배우자의 개인 주민세의 신고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자세한 것은, 살고 있는 구의 세무과 시민세 담당에 문의해 주세요(문의처 전화번호등에 대해서는, 이 페이지의 하부의 「문의처」란을 참조해 주세요.)。
기초 공제
요건
모든 납세 의무자
공제액
33만엔
소득세와의 인적공제액의 차액(주)
5만엔
주석
개인의 시민세와 소득세와의 인적 공제액의 차액은, 조정 공제의 산출 등에 사용합니다.
문의처
불명한 점이 있는 경우는, 각 구청에 문의해 주세요.
구야쿠쇼 | 창구 | 전화 번호 | 메일 주소 |
---|---|---|---|
아오바구 | 아오바구 관공서 3층 55- | 045-978-2241 | [email protected] |
아사히구 | 아사히구 관공서 본관 2층 28- | 045-954-6043 | [email protected] |
이즈미구 | 이즈미구 관공서 3층 304- | 045-800-2351 | [email protected] |
이소고구 | 이소고구 관공서 3층 34- | 045-750-2352 | [email protected] |
가나가와구 | 가나가와구 관공서 본관 3층 325번 | 045-411-7041 | [email protected] |
가나자와구 | 가나자와구 관공서 3층 304- | 045-788-7744 | [email protected] |
고난구 | 고난구 관공서 3층 31- | 045-847-8351 | [email protected] |
고호쿠구 | 고호쿠구 관공서 3층 31- | 045-540-2264 | [email protected] |
사카에구 | 사카에구 관공서 본관 3층 30번 | 045-894-8350 | [email protected] |
세야구 | 세야구 관공서 3층 33-33- | 045-367-5651 | [email protected] |
쓰즈키구 | 쓰즈키구 관공서 3층 34- | 045-948-2261 | [email protected] |
쓰루미구 | 쓰루미구 관공서 4층 2번 | 045-510-1711 | [email protected] |
도쓰카구 | 도쓰카구 관공서 7층 72- | 045-866-8351 | [email protected] |
나카구 | 중구구청 본관 4층 43-43 | 045-224-8191 | [email protected] |
니시구 | 서구구청 4층 44-44- | 045-320-8341 | [email protected] |
호도가야구 | 호도가야구 관공서 본관 2층 26- | 045-334-6241 | [email protected] |
미도리구 | 미도리구 관공서 3층 35- | 045-930-2261 | [email protected] |
미나미구 | 미나미구 관공서 3층 33-33- | 045-341-1157 | [email protected] |
이 페이지에의 문의
페이지 ID:710-355-779